일본에서 아이를 기른다는 것은?

결혼 후 아이를 가지는 것을 고민하고 있다. 한일부부로서 역시 국적이나 언어, 이름, 인종차별, 군대 등 다양한 문제가 먼저 걱정으로 떠오른다.  너무 걱정이 많다고 할 수도 있지만 2019년 일본에 건너온 후 한일관계가 나빠질 때 언론에서 한국을 어떻게 다루는지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아이의 정체성은 어떻게 지지해야 할까? 한국인, 혹은 일본이라는 정체성은 꽤 강력하다. 민족주의에 가까운 교육 방식과 함께 꽤 강한 애국심과 함께 국가에 속한 개인이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된다. 물론 최근에는 교육도 바뀌고 과거 같이 일반적인 국가의 충성을 요구하지는 않겠지만 여전히 영향력은 클 것이다.  특히 한국이나 일본 같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전체를 중요시하고 전체를 위한 개인의 희생이 당연시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한 국가에 속한 것이 아니라 꽤 마찰이 심한 두 국가 사이에 속하는 경우 정체성의 혼란을 겪을 가능성이 충분한 것 같다.  아무런 죄책감 없이 벌레를 찢는 아이들 의외의 잔혹성을 생각해보면 일본에서는 '한국놈', 한국에서는 '일본놈'으로 부르는 녀석들을 내 아이가 만나지 말라는 법도 없는 것 같다. 그런 상황 속에서 아이가 주눅드는 것이 싫다.  물론 자존감을 잘 형성하면 자란 아이라면 무시할 수 있겠지만 그래도 영향이 없을 수는 없을 것이다. 2019년 후반기 부터 한일 관계가 나빠지자 매일 아침 지하철역에 놓여 있는 신문에서 TV에서 한국에 대한 비난을 하는 환경 속에서 아무도 나한테 그런 말을 하지 않는데도 마음이 많이 위축되더라 아이는 더 심할 수도 있지 않을까? 내가 생각하는 최선은 선택권을 가진 사람이라는 정체성을 불어넣어 주는 것이다. 한국인, 일본인 혹은 한일 양국의 국민으로 살아갈 수 있는 선택권을 가지고 있는 아이라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두 국가 장점이 있고 단점이 있지만 장점만을 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다. 그리고 양국을 모두 경험하고 훨씬 넓은 ...

라쿠텐 모바일 | 데이터 사용량이 적을 때 가장 가성비 좋은 일본 통신사

라쿠텐 모바일은 어떤 통신사야? 

라쿠텐 모바일은 원래 저가 통신사였는데 주파수를 획득하면서 메이저 통신사로 변신을 진행 중입니다. 후발 주자인만큼 아직 인구 대비 커버율이 낮고 통신 품질도 낮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라쿠텐 모바일의 전파가 닿지 않는 곳은 au라는 통신사의 주파수를 빌려서 커버하고 있지만 주파수 전환시 에러가 생기는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투과율이 높은 주파수를 추가로 할당 받지 못했기 때문에 실내에서 제대로 통신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다른 통신사의 경우 대부분 2개 이상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 받았습니다). 

그렇게 단점이 많은 데 가입할 메리트가 있는 거야? 

통신사로서는 치명적인 단점들이기 때문에 라쿠텐 모바일은 정말 파격적인 조건과 요금제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무려 3개월 무료라는 조건을 걸고 있어서 일단은 써보고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요금제 역시 파격적입니다. 1기가 미만은 무료이고 1~3기가까지는 1980엔, 3기가부터는 아무리 많이 써도 2980엔입니다. 그러니까 일단은 써보고 문제가 없으면 메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배려하고 있습니다. 만약 생활권 대부분이 라쿠텐 통신 지역에 포함되어 있다면 충분히 고려해볼 매력이 있습니다. 

또한 타통신사에서 옮겨가거나 스마트폰을 구매하는 경우 일본에서는 꽤 넓은 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라쿠텐 포인트를 약 20만원 이상 지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하나의 매력은 라쿠텐 링크라는 앱을 이용하면 일본 국내에서 무료로 통화를 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특히 코로나 이후 통화연결까지 시간이 걸리는 일이 많이서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꽤 파격적인 것 같은데 라쿠텐 모바일 장사 괜찮은거야? 

당연하게 라쿠텐 모바일은 적자가 계속 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사업을 지속하는 이유는 라쿠텐 모바일 자체로 수익을 내는 것이 유일한 목적이 아니었기 때문입니다. 라쿠텐은 일본에서 꽤 큰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기업으로 쇼핑몰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라쿠텐 휘하의 상점 등에서 현금처럼 사용할 수 있는 라쿠텐 포인트로 각 사업을 묶어서 일종의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라쿠텐 모바일은 더 많은 사람들이 라쿠텐 경제권에 들어오게 하는 일종의 입구로 보고 있는 셈입니다. 

너는 써 봤어?

제 경우는 3개월 무료 전의 1년 무료 캠패인 때 가입을 해서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가끔 건물에 들어가면 전파가 약해지는 경우가 있어서 약간 불안정한 부분은 분명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거의 불편을 느끼지 못하고 있습니다. 물론 앙케이트 조사 결과를 보면 통화, 품질이나 서비스에 불만을 가진 사람도 적지 않습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생활권이 라쿠텐 모바일의 통화권에 들어가는지 그렇지 않은지 하는 점인 것 같습니다. 그러니 일단 계약을 해서 사용을 해보고 메인으로 쓸지 쓰지 않을지를 결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예문 포함】 '생선회' 영어로는 뭐라고 할까? + 회덮밥, 초밥

일본 퇴직자 확정신고(確定申告, 연말정산) 일정과 방법은?

일본 배우자 비자 갱신하는 방법 | 완벽 해설